-
체 (Field): 덧셈과 곱셈이 정의된 집합으로, 다음과 같은 10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대수적 구조를 말한다.
- 가장 간단한 체의 예시로는 유리수의 집합 ℚ, 실수의 집합 ℝ, 복소수의 집합 ℂ가 있다. 반면 정수의 집합 ℤ나 자연수의 집합 ℕ은 체가 아니다.
-
어떤 집합 F가 체가 되기 위한 조건
- 덧셈
- 집합 F 안의 임의의 두 원소 a와 b를 더하면, 그 결과인 a + b도 반드시 F 안에 있어야 한다. (덧셈에 대한 닫힘성)
- 세 원소 a, b, c를 어떤 순서로 묶어서 더하더라도 결과가 같아야 한다. 즉,
(a+b)+c = a+(b+c)
이다. (덧셈의 결합법칙) - 두 원소를 더하는 순서를 바꿔도 결과가 같아야 한다. 즉,
a+b = b+a
이다. (덧셈의 교환법칙) - 어떤 원소 a에 더해도 a 그대로인 원소가 F 안에 존재해야 한다. 이를 보통 0으로 표기한다. (덧셈 항등원의 존재)
- 집합의 모든 원소 a에 대해, a와 더했을 때 0이 되는 원소 -a가 F 안에 존재해야 한다. 즉,
a+(-a) = (-a)+a = 0
이다. (덧셈 역원의 존재)
- 곱셈
6. 집합 F 안의 임의의 두 원소 a와 b를 곱하면, 그 결과인
a×b
도 반드시 F 안에 있어야 한다. (곱셈에 대한 닫힘성) 7. 세 원소 a, b, c를 어떤 순서로 묶어서 곱하더라도 결과가 같아야 한다. 즉,(a×b)×c = a×(b×c)
이다. (곱셈의 결합법칙) 8. 두 원소를 곱하는 순서를 바꿔도 결과가 같아야 한다. 즉,a×b = b×a
이다. (곱셈의 교환법칙) 9. 어떤 원소 a에 곱해도 a 그대로인 원소가 F 안에 존재해야 한다. 이를 보통 1로 표기한다. (곱셈 항등원의 존재) 10. 0이 아닌 집합의 모든 원소 a에 대해, a와 곱했을 때 1이 되는 원소 a⁻¹이 F 안에 존재해야 한다. (곱셈 역원의 존재)
- 덧셈
-
유한체 (Finite Field): 유한개 원소를 가진 체, 갈루아 체(Galois Field)라고도 함
기호
q
: 위수 (Order, 유한체 내 원소의 개수)p
: 표수 (Characteristic), 때론 기수(base)라고도 함- 유한체는 항상 양의 표수 p를 가짐
- p가 소수이면 소수체(Prime Field)라고 함
GF(q)
또는F_q
: 위수 q를 갖는 유한체
성질
-
집합의 위수가 p이면 집합의 원소는
{ 0, 1, 2, 3, ..., p-1 }
로 쓸 수 있다. -
그리고, 여기서 덧셈을 나머지 연산으로 정의하면 덧셈이 닫혀있게 된다.
a + fb = (a + b) % 19
- 이 방식으로 뺄셈, 곱셈을 동일하게 정의할 수 있다.
- 소수이거나 소수의 거듭제곱을 위수로 가진 유한체는, 0이 아닌 원소 k로 전체 집합을 곱할 때 다시 원래 집합이 된다
-
나눗셈은 곱셈의 역연산이지만, 재정의한 곱셈의 특징을 고려하기 때문에 일반 대수에서의 계산과 다르다.
3 * f7 = 21 % 19 = 2
이므로,2/f7 = 3
이다.9 * f5 = 45 % 19 = 7
이므로,7/f5 = 9
이다.
-
- 소수인 p와 0보다 큰 n에 대해
n^{p-1} % p = 1
이다.
- 소수인 p와 0보다 큰 n에 대해
-
나눗셈은 곱셈의 역연산이기에 다음처럼 쓸 수 있다.
a/b = a*b^{-1}
- 페르마의 소정리에 따르면,
b^{p-1} = 1
이고 - p는 소수이므로
b^{-1} = b^{-1}*1 = b^{-1}*b^{p-1} = b^{p-2}
이다. - 유한체 F19에서 0이 아닌 모든 원소 b에 대해
b^18 = 1
을 의미하므로b^{-1} = b^17
을 의미한다. - 따라서 어떤 원소 b의 역원 b^{-1}는 거듭제곱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2/7 = 2 * 7^{19-2} = 465261027974414%19 = 3
7/5 = 7 * 5^{19-2} = 5340576171875%19 = 9
참고
-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3860&id=1134
-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D%95%9C%EC%B2%B4
- 밑부터 시작하는 비트코인 (Programming Bitcoin by Jimmi Song, O’Rei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