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일반적으로 서버를 운영할때는 주로 서버를 설치한 후 OS를 설치한 후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여기에 문제가 생긴 경우 패치를 하거나 정기적인 보안 패치 튜닝들을 해당 서버에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애플리케이션은 CI/CD 등의 툴을 이용하여 배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렇게 한번 설치한 서버에 계속해서 설정을 변경하고 패치를 적용하는 등의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적용하여 운영하는 서버를 Snowflakes Server라고 하는데, 이렇게 설정된 서버는 다시 똑같이 설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모든 설정과정이 문서화가 잘되어 있으면 모르겠지만 대부분 문서화가 꼼꼼한 경우가 굉장히 드물고, 담당자가 바뀌거나 관리 조직이 바뀌는 경우에는 그 이력이 제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없다. 그래서 장비를 업그레이드 하거나 OS를 새로 인스톨해서 같은 환경을 꾸미고자 할때 예전 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구성하기가 어렵고, 그래서 누락된 설정이나 패치등에 의해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Snowflakes Server는 이렇게 한번 설정을 하고 다시 설정이 불가능한 형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런 Snowflakes Server는 재구성 문제 뿐만 아니라 구성 편차를 유발하기도 하는데, 여러대의 웹서버를 운영하고 있는 조직에서, 문제가 있어서 특정 서버를 패치한 경우, 다른 동일한 웹서버를 모두 패치 하지 않는 이상 구성이 달라진다. 이는 또 운영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Phoenix Server
그래서 나온 서버 패턴이 Phoenix Server 패턴인데, 피닉스(불사조)는 불멸로도 알려져있지만 정확히는 불속에서 다시 태어나는 re-born (재탄생)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 이 재탄생의 개념을 서버 설정 방식에 적용한 패턴이 피닉스 서버 패턴이다.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하거나 설정을 변경할때 기존 서버에 변경 작업을 더 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 OS 설치에서 부터, 소프트웨어 인스톨, 설정 변경까지를 다시 반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분투 16, 톰캣 7.0 버전으로 운영되고 있는 서버가 있고, 이 서버에 로그 수집 모듈은 fluentd
를 설치하는 케이스가 있다고 가정하자.
Snowflakes Server 서버 패턴의 경우에는 이미 운영되고 있는 서버에 새롭게 fluentd를 일일이 설치하거나 자동화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ansible 이나 chef등의 configuration management 도구를 이용하여 fluentd를 설치하게 된다.
피닉스 서버 패턴의 경우에는 새 VM을 다시 만들고, 우분투 16 OS를 설치하고, 톰캣 7.0을 설치하고 fluentd를 설치한 다음. 이 VM으로 기존 VM을 교체한다.
물론 매번 이렇게 새롭게 모든 스택을 설치하지는 않는다. 어느정도 공통 스택은 가상머신의 베이스 이미지 (VM Base Image)로 만들어놓고, 이 이미지를 이용하여 VM을 생성한 후에, 차이가 나는 부분만 설정을 하는 구조를 설정하는 구조를 사용하게 되고 이 과정은 스크립트 코드를 이용해서 자동화하기 때문에, 그렇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피닉스 서버 패턴에서는 매번 전체를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설치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게 된다.
-
스크립트에 모든 설정 정보가 유지되게 된다.
-
이 스크립트 코드를, git와 같은 소스 코드 관리 시스템을 이용해서 관리하게 되면, 어떤 부분을 누가 어떻게 수정을 했는지 추적이 가능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