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x + by = gcd(a, b)
를 성립하는 x, y는 항상 존재한다.
-
집합
S = {ax + by > 0 | x, y는 정수}
를 가정했을 때- S는 공집합이 아니므로,
y=0
,x=1
이면:a×1 + b×0 = a
- a가 양수면 그대로, 음수면 |a| (x=-1로 조정)
- 따라서 S는 최소한 하나의 원소를 가짐
- S에 있는 가장 작은 원소를 d라고 불러볼 수 있다.
- S는 공집합이 아니므로,
-
a를 d로 나누면 몫 q와 나머지 r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a = dq + r (0 ≤ r < d)여기서 만약 r이 0보다 크다면
r = a - dq= a - (as + bt)q= a(1-sq) + b(-tq)이므로 r도 S의 원소라는 뜻인데, r < d이므로 d가 최소원소라는 것에 모순된다.
따라서 r = 0이어야 한다. 즉, a는 d로 나누어 떨어진다.
같은 방법으로 b도 d로 나누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
d는 a와 b의 공약수이면서,
d = as + bt
이다.만약 다른 공약수 c가 있다고 하면, c에 어떤 정수 l이나 k를 곱한 것이 a, b와 각각 같을 것이다.
- a = c × l
- b = c × k
따라서 이렇게 표현할 수 있다.
d = as + bt= c × l × s + c × k × t= c × (l * s + k * t)즉, c는 d의 약수이다.
모든 공약수 c는 d의 약수여야하므로 d는 가장 큰 공약수, 다시 말해 최대공약수(gcd)이다. -
집합
S = {ax + by > 0 | x, y는 정수}
의 가장 작은 원소 d는 a, b의 최대공약수이므로,
ax + by = gcd(a, b)
를 성립하는 x, y는 항상 존재한다.
이 식을 베주 항등식(Bézout’s Identity)이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