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에트의 정리는 다항식의 계수와 근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이다.
- 16세기 프랑스 수학자 프랑수아 비에트(François Viète)가 발견했으며, 근과 계수의 관계라고도 불린다.
2차 방정식
2차 방정식 ax^2+bx+c = 0의 두 근을 α, β라고 할 때,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 근의 합: α + β = -b/a
- 근의 곱: α · β = c/a
유도
2차 방정식의 경우, 근의 공식으로부터 직접 유도할 수 있다:
α = (-b + √(b²-4ac))/2a, β = (-b - √(b²-4ac))/2a일 때:
α+β = (-b + √(b²-4ac))/2a + (-b - √(b²-4ac))/2a = -2b/2a = -b/a
α·β = [(-b + √(b²-4ac))/2a] · [(-b - √(b²-4ac))/2a] = [b² - (b²-4ac)] / 4a² = 4ac / 4a² = c/a
3차 방정식
3차 방정식 ax³+bx²+cx+d = 0의 세 근을 α, β, γ라고 할 때:
- 근의 합: α+β+γ = -b/a
- 근의 곱의 합: αβ+βγ+γα = c/a
- 근의 곱: α·β·γ = -d/a
유도
-
3차 방정식을 인수분해 형태로 나타내면:
a(x-α)(x-β)(x-γ) = 0 -
이를 전개하면:
a(x - α)(x - β)(x - γ)= a[(x - α)(x² - (β+γ)x + βγ)]= a[x³ - (β+γ)x² + βγx - αx² + α(β+γ)x - αβγ]= a[x³ - (α+β+γ)x² + (αβ+βγ+γα)x - αβγ]= ax³ - a(α+β+γ)x² + a(αβ+βγ+γα)x - aαβγ -
이를 ax³ + bx² + cx + d = 0과 계수를 비교하면:
x² 계수: -a(α+β+γ) = b → α+β+γ = -b/ax¹ 계수: a(αβ+βγ+γα) = c → αβ+βγ+γα = c/ax⁰ 계수: -aαβγ = d → αβγ = -d/a
n차 방정식의 일반화
대칭 다항식의 기본 정리와 관련되었다고 함
n차 다항식 aₙxⁿ + aₙ₋₁xⁿ⁻¹ + ⋯ + a₁x + a₀ = 0의 n개의 근을 r₁, r₂, …, rₙ이라 할 때:
- Σrᵢ = -aₙ₋₁/aₙ (근의 합)
- Σrᵢrⱼ (i<j) = aₙ₋₂/aₙ (근의 쌍곱의 합)
- ⋯
- Πrᵢ = (-1)ⁿ · a₀/aₙ (근의 곱)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