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quare 인프라
가용성 높은 spot instance 클러스터를 구축한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해당 인프라를 구축했던 Xquare 인프라 프로젝트에 대해 먼저 설명해보겠다.
Xquare 인프라란 대덕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에 있는 여러 동아리의 프로젝트를 한 인프라에서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프로젝트이다. PaaS 형태의 통합 인프라를 통해 학생들이 서버 성능이나 관리, 비용 부담 없이 프로젝트를 배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각 동아리가 신청 폼으로 액세스 키를 발급받으면, 제공되는 배포 파이프라인을 통해 Xquare 인프라에 프로젝트를 마음껏 올릴 수 있다. 프로젝트 진행 시에 서버 관리나 비용에 대해 신경 쓸 필요 없이 빠르게 배포할 수 있게 된다.
현재 5개 동아리에서 개발하는 6개의 서비스, 100여개의 컨테이너를 인프라에서 관리 중이며, 교내 선생님과 학생을 포함한 약 250명의 유저가 배포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
컨테이너의 갯수가 자주 변동할 수 있기 때문에, Kubernetes(EKS)를 사용하여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Xquare 인프라 구조도
문제 상황
적은 예산 내에서 여러 컨테이너를 감당해야 했기에, 모든 Node를 가격이 저렴한 Spot Instance로 구성했다.
전체 Node를 Spot Instance로 구성함으로써 EC2 비용을 기존 대비 70%가량 절감할 수 있었다.
💡 Spot Instance란?
AWS EC2를 사용할 수 있는 옵션 중에 하나로, 경매를 통해 저렴한 가격으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특정 가격으로 사용을 시작한 뒤, 경매 가격이 사용하고 있는 가격보다 올라가면 EC2가 정지된다는 특성이 있다.
AWS의 ASG(Auto Scaling Group) 기능을 사용하면 EKS에서 사용하는 전체 노드의 갯수를 지정해서 Spot Instance가 죽는 경우 새 Spot 노드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AWS는 사용자가 Spot 노드가 죽는 것에 대비할 수 있도록 2분 전에 미리 알림을 보내준다. 이 프로젝트에서도 미리 알림을 받아 Pod를 다른 곳에 미리 옮겨놓을 수 있도록 Node Termination Handler라는 소스를 사용했다.
그러나 Spot Instance의 특성으로 Node가 불시에 내려가면 서버 작동이 비주기적으로 10분 이상 정지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렇게 총 10분 가량, 혹은 그 이상의 시간동안 정지하게 된다.
하루에 3번 이상 정지로 인한 문제가 발생했기에 가용성이 97% 수준이었고, 이로 인해 인프라에 대한 불편이 컸다. 따라서 Spot Instance 노드가 내려가도 그 안에있는 서버(Pod)는 계속해서 요청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할 방법을 생각해야 했다.
1. Karpenter 사용
ASG 대신 Karpenter를 사용하면 node가 내려간 이후에 새 node를 바로 생성할 수 있고, node 생성 및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Karpenter의 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우선 CA의 개념과 ASG의 동작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해보겠다.
Cluster Autoscaler(CA)
Cluster Autoscaler는 autoscaler라는 쿠버네티스의 공식 서브 프로젝트 중 하나이며, 클러스터의 워커 노드를 유동적으로 스케일링해주는 컴포넌트이다. 워커 노드의 자원이 모두 소모된 경우 자원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새로운 클러스터를 생성, 더 이상 새로운 자원이 필요하지 않게되면 생성된 클러스터를 삭제하는 동작을 한다.
이 동작은 Cloud Provider에게 요청하여 이뤄진다. AWS에서는 이 동작이 ASG를 통해 이뤄진다. CA는 Pod 의 상태를 관찰하다가 지속해서 할당에 실패하면 Node Group 의 ASG Desired Capacity 값을 수정하여 Worker Node 개수를 증가하도록 설정한다.
-
AWS Cluster Autoscaler 동작 과정
- unscheduled Pod 를 관찰하고 있다가, Node Group 의 ASG Desired Capacity 값을 수정하여 Worker Node 개수를 증가하도록 설정한다.
- 이를 인지한 ASG 가 새로운 Node를 추가한다.
- 여유 공간이 생기면 kube-scheduler 가 Pod를 새 Node에 할당한다.
Cluster Autoscaler는 이와 같이 AutoScaling Group의 desired size를 조정하여 새로운 node를 provisioning하므로 반응 속도가 느리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arpenter라는 툴을 사용할 수 있다.
Karpenter
Karpenter 는 AWS 가 개발한 Kubernetes 의 Worker Node 자동 확장 기능을 수행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앞서 말한 Cluster Autoscaler (CA) 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AWS 리소스에 의존성이 없어 JIT(Just In-Time) 배포가 가능하다.
-
Karpenter 동작 과정
- unscheduled Pod 를 관찰하고 있다가, 새로운 Node 추가를 결정하고 직접 배포한다. (이때 Pod에 toleration 설정이 되어있어야 Karpenter가 인식해준다.)
- 추가된 Node가 Ready 상태가 되면 kube-scheduler 대신 pod의 Node binding 요청을 수행하기도 한다.
Karpenter는 클러스터 확장 시 일어나는 많은 부분을 직접 처리해서 확장을 처리한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ASG 대신 Karpenter를 사용함으로써 node가 내려간 이후에 새 node를 바로 생성하는 데 걸리는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
2. Pod Disruption Budget
PDB란 활성화 상태여야 하는 pod의 수, 또는 정지될 수 있는 최대 pod의 수를 지정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강제하는 object이다. PDB를 사용하면 중요한 워크로드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의 고가용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참고)
단, Xquare에서는 Replica를 1개만 가지고 있었기에 유의미한 동작을 할 수 없었다. Cordon 되어도 PDB로 인해 node에 남아있다가, node가 삭제될 때 같이 삭제되었다가 그냥 재생성되기 때문에 PDB로 인한 삭제 방지가 동작하지 않는다.
만약 Replica를 2개로 만든다면 PDB 설정으로 노드 정지에 대응할 수 있지만 그만큼 더 많은 노드를 유지하기 위한 비용을 지출해야한다. 하지만 Xquare 인프라에선 이미 총 100여개의 pod를 돌리고 있는 상황에서 Replica 증가로 늘어나는 비용을 감당할 수 없었다. 따라서 PDB만으로는 이 프로젝트에서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없다.
→ 완벽하지 않더라도 리소스를 최대한 덜 사용하면서 가용성을 늘릴 방법이 필요했다.
3. node Drain시 replica 2개로 늘리기
PDB를 설정하여도 Replica가 1개이기 때문에 문제가 생긴다면, 노드가 죽는 경우 Replica를 2개로 만들어주어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하는 아이디어가 생각났다. 구체적인 흐름은 아래와 같다.
가설
- PDB minAvailable 값 1로 설정
- Drain 직전 해당 node에 pod를 가지고 있는 Deployment(app label로 식별)의 Replica를 2로 설정
- Node Drain
- 이때 Replica가 증가함으로써 다른 노드에 Pod가 새로 생기고 있는 상태 (PDB로 인해 기존 Pod가 사라지지 않고 트래픽을 받음)
- ReadnessProbe 성공시 Drain으로 인해 기존 Pod 삭제
- 새로 만든 Pod에서 트래픽 받기 시작, Replica 1로 복구
구현
위의 플로우를 구현하기 위해 Node Termination Handler(v1.20.0)에서 이벤트에 대응하는 부분에 추가 로직을 작성했다. 소스는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추가한 부분은 주석으로 표기해놓았다.
기존에는 replica가 1개였기 때문에 drain시 PDB 설정이 무시되어 pod 종료 → pod 생성 순서로 작동했는데 drain 전에 replica를 2개로 만들어주면 새 pod가 running 상태가 될 때 까지 이전 pod를 terminate시키지 않는다.
다른 Deployment에 대해 적용 시 안정성을 장담할 수 없어서 xquare 프로젝트의 pod에만 있는 label을 식별하여 늘려주도록 했다.
결과
위와 같이 구축 후 Uptimia 사이트를 사용해서 2023년 9월부터 2달간 측정한 결과, 모든 API 서버의 가용성이 99.95%를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node가 cordon 되면 해당 node에 있던 pod들이 나머지 node에 스케줄링 되는데, 나머지 node에 자리가 부족한 경우(리소스가 모자란 경우) node가 삭제되고 다시 생성될 때까지 서버가 잠시 정지될 수 있다는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이 문제는 전체 노드를 Spot Instance로 사용하는 상황에서 완벽하게 해결하기 어렵기에 현재 수준에서 타협하기로 했다.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 많은 비용을 쓰는 것 보다, 현재의 방법을 유지하는 것이 상황에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가용성 높은 spot instance 클러스터를 구축하기 위한 과정에서 Karpenter, NTH 등의 툴과 K8s의 Pod 스케줄링에 관련된 기능을 많이 공부할 수 있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는 것이 정말 즐거웠다. 전체 node를 Spot Instance로 사용한다는 것 자체가 무모한 도전이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최선을 다해 괜찮은 결과를 낼 수 있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고민하는 경험을 할 수 있어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