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태그: 영상

총 4개의 글이 있습니다.
비트레이트
영상
프레임 레이트 frame rate 프레임 레이트 단위는 fps(frame per second)이다. 30fps라면, 1초에 30장의 프레임이 재생된다. 초당 재생되는 이미지 수가 많아지면 동영상이 더 부드럽게 재생된다. 비트 레이트 bit rate 비트 레이트 단위는 bps(bits per second)이고, 초당 처리하는 데이터 크기를 의미한다. 동영상에서 화질은 해상도와 함께 비트레이트 크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상도가 아무리 높아도 비트레이트가 낮으면 화면이 뭉개진다. 그렇다고 비트레이트를 무턱대고 높인다고 화질이 무조건 좋아지는 것도 아니라 해상도에 맞는 적당한 비트레이트를 선택해야 한다. 물론 비트레이트를 높이면 해상도에 따른 화질이 보장되기는 하는데, 비트레이트가 너무 높으면 쓸데 없이 동영상
자막 파일 포맷
영상
자막 파일 포맷인 SRT, SBV, VTT, SMI에 대해 알아보자. SRT (SubRip Text) SRT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자막 파일 형식 중 하나이다.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조로 많은 미디어 플레이어와 편집 소프트웨어에서 지원된다. 특징: 텍스트 기반으로 쉽게 편집 가능 대부분의 미디어 플레이어와 호환 자막 번호 정보가 있어 순서 파악이 용이 기본적인 서식 지정(볼드, 이탤릭, 색상) 지원 (일부 플레이어에서만 인식) 구조: 자막 번호 시작 시간 —종료 시간 자막 텍스트 빈 줄 (자막 구분) 예시: 100:00:01,000 --00:00:04,000안녕하세요, 여러분. 200:00:04,500 --00:00:06,500오늘은 자막 파일 형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0:00:04,000안
컨테이너와 코덱
영상
컨테이너 포맷(Container Format) 앞서 말한 것처럼 동영상 확장자는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인 스트림(Stream)을 하나 이상 가지고 있는 보관함 역할을 하며 이를 컨테이너 포맷(Container Format) 혹은 래퍼 포맷(Rapper Format)이라 부른다. 스트림(Stream)은 데이터, 패킷, 비트 등 일련의 연속성을 갖는 흐름/데이터를 의미하는데 간단히 컨테이너가 가지고 있는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라 생각할 수 있다. 컨테이너가 가지고 있는 비디오, 오디오 스트림(Stream)들은 코덱(Codec)을 통해 가공된 데이터들이다. 왜 코덱을 통해 가공을 했을까? 코덱(Codec) 코덱은 코더(Coder)와 디코더(Decoder)의 앞글자를 딴 합성어로 용량이 큰 영상을 다른 곳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