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태그: 블록체인

총 11개의 글이 있습니다.
Stablecoin
블록체인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가격 안정성을 목표로 설계된 암호화폐로, 법정화폐, 상품, 또는 알고리즘을 통해 가치를 유지한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같은 일반 암호화폐는 높은 변동성을 가지지만, 스테이블코인은 안정적인 가치를 제공하여 결제 수단, 가치 저장, 거래소 간 이동 등에 활용된다. 따라서 거래소 간 자금 이동 시 변동성 없이 빠르게 이전할 수 있다. 상거래 결제에 안정적으로 사용되며, 탈중앙화 금융(DeFi)에서 대출, 예금, 유동성 제공의 기초 자산으로 활용된다. 국경 간 송금에서 빠르고 저렴한 수단을 제공하고, 암호화폐 시장 변동성을 회피하기 위한 안전자산 역할도 한다. 법정화폐 담보형의 경우 실제 담보 보유 여부가 불투명할 수 있고, 각국 정부의 규제 변화에 민감하게 반
BFT
블록체인
비잔틴 장애 허용(Byzantine Fault Tolerance, BFT)은 분산 컴퓨팅 시스템에서 일부 노드가 악의적으로 행동하거나 임의로 실패하더라도 시스템이 합의에 도달하고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는 1982년 Leslie Lamport가 제시한 “비잔틴 장군 문제(Byzantine Generals Problem)“에서 유래했다. 비잔틴 장군 문제 여러 비잔틴 장군들이 도시를 포위하고 있고, 메신저를 통해 통신하며 공격 또는 후퇴를 결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문제는 일부 장군이나 메신저가 배신자일 수 있으며, 이들이 잘못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충성스러운 장군들은 배신자가 있더라도 동일한 작전 계획에 합의해야 한다. 신뢰할 수 없는 환경에서 합의가 필요한 다양한 시
Consensus mechanisms
블록체인
Consensus mechanism(합의 알고리즘)은 분산 네트워크에서 블록체인의 상태에 대해 모든 노드가 동의하도록 하는 메커니즘이다. Bitcoin에서 사용하는 Proof of Work 외에도 다양한 합의 메커니즘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Proof of Stake (지분 증명) Proof of Work에 대한 대안으로, 채굴의 필요성을 제거하여 작업 증명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암호화폐 보유자들은 의결권을 얻기 위해 잔고를 걸고(스테이킹) 거래를 검증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의해 선택될 기회를 갖는다. 스테이킹을 통해 노드 또는 validator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고가의 하드웨어 요구사항이나 어려운 계산 과정은 없지만 암호화폐 보유자들이 자금을 투입하는 데
ICO
블록체인
Initial Coin Offering (ICO)는 암호화폐 개발 업체에서 투자 자금을 모집하기 위해 자사에서 개발한 암호화폐의 일부를 현금이나 다른 암호화폐를 받고 넘겨주는 것이다. 미래에 상장될 코인의 가치를 약속하고 그보다 저렴한 환율로 현재의 자금을 환전해 주는 방식이다. 전통적인 기업공개(IPO)와 유사하지만, 주식 대신 암호화폐 토큰을 발행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ICO 방식이 처음으로 도입된 암호화폐는 이더리움이다. 개발자인 비탈릭 부테린은 백서(白書; whitepaper)를 공개하고 비트코인을 받아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했다. 이더리움이 성공적으로 개발되고 투자자들에게 배부된 ETH 토큰의 가치가 상승하자, 투자자들은 많은 이득을 보게 되었다. 이더리움의 성공 이후 수많은
Bitcoin Script
블록체인
비트코인 스크립트는 트랜잭션 출력의 사용 조건을 정의하는 스택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ScriptPubKey와 ScriptSig 모두 같은 방식으로 파싱된다. 파싱을 시작하고 처음 읽은 한 바이트 값이 n이고 이 값이 0x010x4b(175) 사이의 값이면 n바이트 길이만큼 이어서 읽은 숫자를 한 원소로 간주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바이트 값은 오피 코드를 의미한다. 연산자, 오피코드 대응 표 비트코인의 스크립트에선 반복문을 허용하지 않는다. (튜링 완전하지 않다.) 튜링 완전한 스마트 계약 언어인 Solidity를 이용하는 이더리움은 gas라는 단위를 프로그램 실행 대가로 지불하도록 강제하여 해결한다. 거래를 하기 위해선 이전 트랜잭션의 해제 스크립트(ScriptPubKey)로 코
스마트 컨트랙트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는 블록체인 상에서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계약 조건이 충족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디지털 계약이다. 중개자 없이 신뢰할 수 있는 거래를 가능하게 하며, 투명성과 불변성을 보장한다. 역사적 배경 Nick Szabo의 개념 정립 (1994-1996)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용어는 1994년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 Nick Szabo가 처음 제안했다. 1996년 Szabo는 여러 논문을 발표하며 스마트 컨트랙트를 “계약 조건을 실행하는 전산화된 거래 프로토콜”로 정의했다. 그의 비전은 일반적인 계약 조건을 충족하고, 악의적이거나 우발적인 예외를 최소화하며, 신뢰할 수 있는 중개자의 필요성을 줄이는 것이었다. 자판기를 예시로 들어 설명했다: 동전을 넣으면 기계가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