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총 91개의 글이 있습니다.
자막 파일은 영상 콘텐츠에 텍스트 정보를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파일 형식이다. SRT, SBV, VTT, SMI 네 가지 주요 포맷이 널리 사용되며, 각각의 특성과 용도가 다르다.
SRT (SubRip Text)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자막 포맷이다. 텍스트 기반의 단순한 구조로 거의 모든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지원한다.
구조: 자막 번호, 타임코드, 텍스트, 빈 줄로 구성된다
시간 형식: HH:MM:SS,mmm --HH:MM:SS,mmm
자막 번호를 통해 순서 관리가 명확하다
100:00:01,000 --00:00:04,000안녕하세요, 여러분.
200:00:04,500 --00:00:06,500오늘은 자막 파일 형식에 대해 설명한다. 00:00:04,000안녕하세요, 여러분.200:00:04 FineGrained와 CoarseGrained 개발
Fine-grained는 사전적으로 “결이 고운”, “미세한”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Coarse-grained는 “결이 거친”, “조잡한”의 의미를 가진다. Grain은 곡식 혹은 낱알을 뜻하는데, 알갱이가 거칠고 큼직큼직헌지, 곱고 세밀한지에 따라서 Coarse와 Fine으로 나누어 표현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Fine-Grained
하나의 작업을 작은 단위의 프로세스로 나눈 뒤, 다수의 호출을 통해, 작업 결과를 생성해내는 방식
예를 들어, Do라는 동작이 있다면 해당 함수를 First_Do(), Second_Do()로 나누어 작업 결과를 생성해냄
다양한 “Flexible System” 상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음
Coarse-Grained
하나의 작업을 큰 단위의 프로세스로 나눈 뒤, “Sin